공부합시다/사회&정치

에밀 뒤르켐 (Emile Durkheim) - 4

도덕성이 뒤르케임의 사회학 이론에서 왜 그처럼 중심적인 지, (a) 도덕성의 세 가지 구성요소, (b) 도덕성을 재생산 하는 데 있어 교육의 역할에 대해 논하세요.

 

뒤르켐은 인간은 그들의 욕망이 외적인 힘들에 의해 규제될 때 자유롭다고 했다. 도덕성은 이런 힘들 중에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공통적으로 작용한다고 여겼기에 그의 사회학 이론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도덕성은 정서, 행동, 인지 세 가지 요소가 있다. 정서적 요소는 잘못을 저질렀을 때 부끄러움이나 수치심을 느끼는 것이다. 행동적 요소는 잘못된 행동을 수정해서 더 바람직한 행동으로 변화시키려는 것이다. 인지적 요소는 합리적인 기준에 근거해서 도덕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지적 능력이다.

도덕 교육은 개인에게 해로운 욕망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기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개개인들이 자율성을 제공받도록 한다. 여기서의 자유성은 어린이들에게 요구되는 일정한 행위 양식들을 기꺼이 이해하게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화 과정을 통해 사회와 도덕 체계에 헌신하게 한다.

 

 

뒤르케임의 사회학 이론에 대해 비판해 보세요.

 

뒤르켐은 의식은 중요한 요인일 수 있음에도 종속변수로만 다루었다는 한계가 있다. 루크스는 자살에 대한 설명은 사회적 기류들의 연구에서 그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사람들이 왜 자살을 했느냐는 설명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의식이 과학적 검증과 설명에 적합하지 않다고 가정하는 오류를 범했다. 부인하는 것만으로는 아무 것도 해결될 수 없다. 차라리 사회적 사실이라는 언급 없이는 완벽하게 정의될 수 없다고 하는 편이 나았다. 또한 개인행위와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주된 분석대상이 되지 않았다. 자살율은 개인적 수준의 변화와 누적 수치로 확인되었으나 변화의 본질에 대해서는 세세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개인이 사회조건을 어떻게 인지하고 해석하는가 보다는 사회 조건이 개인에게 끼치는 영향에만 관심을 가졌기에 사회심리학적 가정들이 모호하고 연구되지 않은 상태로 남게 되었다. 그리고 베버의 입장에서는 자연현상 연구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자연현상은 이를테면 실증주의에 입각해 물은 섭씨 100도에서 끓는다는 일반법칙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할지 모르나 사회현상에서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베버는 이념형을 제시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