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사회&정치

소쉬르, 구조주의(Structuralism)와 구조주의의 변형

구조주의, 후기구조주의 및 탈근대 이론의 뿌리가 무엇인지 논하세요.

 

구조주의의 원천은 언어학이다. 구조주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한 학자로는 소쉬르가 있다. 그의 연구에서 중요하면서도 관심을 끄는 것은 랑그빠롤이 있다. 구조에 대한 관심은 기호 체계를 연구하는 기호학으로도 이어졌다. 기호학은 언어뿐만 아니라 표정, 몸짓, 문자 등 다른 기호와 상징체계까지 포괄하기 때문에 언어학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다뤄진다.

 

후기구조주의는 인간경시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왔고, 구조의 역사성과 상대성을 중시한다. 보통 데리다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보는데 구조주의와 다르게 언어로는 사람들을 제약하는 힘을 가질 수 없다고 보았다. 언어는 단순히 글쓰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는 로고스 중심주의와 같은 억압의 원천을 해체, 제거함으로써 글쓰기를 해방시키는 데 관심을 가졌다. 미셸 푸코는 다양한 이론적 뿌리를 보여주었다. 그는 권력의 미시정치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해석학을 사용했다. 또한 지배적인 행위모델보다는 다양한 층위들이 있다고 보았다.

 

탈근대 이론은 각각의 사상가들이 고유한 특성을 가졌기에 다양한 이론적 뿌리를 갖는다. 근대 이론이 사회분석과 비판을 위해 이성적으로 판단하며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근본, 진리를 찾을 수 있다고 보았던 반면에 탈근대 이론은 근본주의를 거부하고, 상대적이고 비합리적인 경향을 띈다. 이들은 이성에 대한 믿음은 허구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이성에 반대되는 감성이나 의지를 강조하기도 한다. 하나의 진리만을 추구하지 않기에 다원주의로 여겨진다. 또한 거대 서사나 메타 서사와 같은 관념을 부정한다.

 

 

- 소쉬르(Saussure, Ferdinand De)


구조주의와 연루된 주요 개념들과 언어학적 전환에 대해 논하세요.

 

먼저 소쉬르의 랑그빠롤이 있다. ‘랑그는 언어의 형식적이고 문법적인 체계이고, ‘빠롤은 실제 발화이다. ‘랑그는 기호의 체계로 간주되고 각 기호의 체계 내의 기호들 간의 관계를 통해 생산된다고 보았다. 이를테면 뜨겁다는 단어의 의미는 내재적인 특성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이원적 대립관계인 차갑다는 단어와의 관계로부터 생성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레비스트로스는 구조주의를 모든 종류의 교환(커뮤니케이션) 형식들로 확장했다. 폭넓은 사회현상을 교환의 체계로 재개념화한 것이다. 이는 배우자의 교환이 단어의 교환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둘 다 구조주의적 인류학자들의 방법을 통해 연구될 수 있는 사회적 교환 관계라고 하였다.

 

언어학적 전환은 사회구조로부터 언어구조로 관심이 이동한 것을 말한다. 많은 사회과학자들이 의사소통에 대한 하버마스의 초기 논의나 일부 민속 방법론자들의 대화 분석처럼 사회구조에서 언어로 혹은 보다 다양한 종류의 기호로 관심을 옮겼다. 언어학적 전환은 모든 사회현상으로 확장되어 기호로 재해석되었다고 하기도 한다.

 

 

기호학, 인류학적 구조주의 및 구조적 마르크스주의 등 구조주의의 변형에 대해 논하세요.

 

기호학은 기호 체계의 구조에 대한 연구이다. 언어뿐만 아니라 표정이나 몸짓, 문자 등 기호와 상징체계들을 포괄하여 기호로 재해석하는 것이다. 사실상 모든 의사소통 형식들을 연구한다고 볼 수 있다. 인류학적 구조주의는 레비스트로스가 주로 주장했던 개념이다. 그는 소쉬르의 언어 연구를 원시사회의 신화와 같은 인류학적 문제로 확장시켰다. 또한 친족제도 같은 폭넓은 사회현상을 모든 종류의 교환 형식으로 재개념화하여 구조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배우자의 교환은 단어의 교환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레비스트로스는 정신의 심층구조를 가장 근본적인 구조라고 간주하며 언어학적 전환에 대립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조적 마르크스주의는 마르크스 이론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언어학적 전환에 동참하지 않았고, 관심의 초점을 사회 저변을 이루는 구조, 즉 사회경제적 구조에 두었다. 그렇다 해도 역사 연구에 앞서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거나 구조주의는 사회적 관계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나 체계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여긴 점에서는 구조주의자들과 비슷한 견해를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