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사회&정치

칼 마르크스 (Karl Heinrich Marx) - 2

헤겔적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누구인지, 그들은 마르크스를 어떻게 다루었는지 논하라.

 

헤겔적 마르크스주의자는 게오르그 루카치와 안토니오 그람시를 들 수 있다. 루카치와 안토니오 모두 경제와 같은 사회구조보다 집단적 이념에 초점을 두었고,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루카치의 물화 개념은 마르크스의 상품의 물신주의를 기초로 했다. 상품의 물신주의는 경제제도에 국한된 개념이지만 그는 물화를 국가, , 경제부문을 망라한 사회전체에 적용했다. 이는 마르크스주의 이론 체계 속에 자리 잡고 있었기에 자본주의 단계에 국한되는 문제로 간주하였다. 그람시는 결정론적이고 운명론적이며 기계론적인 마르크스주의자들을 비판했다. 그도 역사적 제약들이 존재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인정했지만 자동적이거나 필연적인 발전이라는 관념에 대해서는 거부하였다. 그는 대중이 스스로 이데올로기를 발전시킬 능력은 없다고 보았다. 혁명적 이념은 지식인들로부터 만들어지고 대중에게 확산되어 실천으로 전환된다고 보았다.


 

- 칼 마르크스 (Karl Heinrich Marx)

 

비판 이론의 이론적 토대는 무엇인지 밝히고, 비판이론이 제기한 실증주의, 사회학, 근대사회 및 문화에 대한 비판들을 상세하게 논하라.

 

비판이론은 경제적 토대보다는 문화적 상부구조에 이론적 토대를 둔다. 실증주의에 대해서는 행위자를 포착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행위자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므로 그들의 독자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본다. 사회학에 대해서는 과학적 방법 그 자체를 목적으로 삼을 뿐 사회를 진지하게 비판하지 않으며 현대 사회구조를 넘어설 방법을 모색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사회에 대해서는 얼핏 보기에는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비합리성으로 가득 차있다고 주장한다. 지속적인 전쟁의 위협을 통해 평화가 유지된다거나 사람들이 굶주리고 억압받아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는 점에서 비합리적이라는 것이다. 문화에 대해서는 문화산업이 매체를 통해 미리 포장을 끝낸 후에 대량생산되어 대중에게 유포되어 거짓되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자본주의적 이데올로기에 도구로 개념화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신마르크스주의 경제사회학자들 각각이 마르크스주의 이론 전반에 기여한 점을 논하라.

 

기존의 경제결정론자들이 경제제도를 지나치게 강조한 탓에 비판이론가들에 의해 경제제도가 언급되는 경우는 줄어들었다. 하지만 이에 따른 역반작용으로 신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이 다시금 경제영역으로 초점을 돌렸다. 이들은 자본과 노동, 포디즘에서 포스트포디즘으로의 이행을 다루면서 근대 자본주의사회의 실체에 적용하고자 노력했다. 바란과 스위지는 마르크스주의의 전통적 시각을 받아들이면서도 초점을 노동 과정에서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경제구조로 옮겼다. 헤리 브레이버만은 육체노동자에 대한 마르크스의 관심을 현실에 맞게 재조명하였고,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던 사무직 노동자와 서비스업종의 노동자까지 확대하였다. 에드워즈는 상층부에 속하는 사람들이 하층에 속하는 사람들을 통제하는 방식에 변화가 생겼다고 주장하며 통제의 문제를 한층 더 깊게 다루었다. 부로워이는 노동자가 꼭 강제적 억압에 의해 일하는 것만은 아니라고 주장하며 노동자가 열심히 일하는 이유에 대해 재조명하였다.

 

 

신마르크스주의 경제사회학자들 각각이 그들의 저작에서 강조했던 점들을 논하라.

 

바란과 스위지에 따르면 마르크스주의이론은 경쟁 자본주의가 독점 자본주의에 의해 대체되어 왔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고 했다. 소수의 대기업이 대부분의 경제부문을 지배하는 거대기업이 출현했다는 것이다. 이런 독점자본주의하에서는 그 자체로 잉여를 발생시키고, 그 잉여를 제거할 방법이 없어 해결될 수 없는 모순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브레이버만은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핵심이 노동과정과 노동자에 대한 착취에 있다고 보았다. 그는 기계가 노동자에 대한 통제의 수단이고, 과학적 관리를 통해 노동자에 대한 통제가 확대되었다고 주장한다. 에드워즈는 자본주의가 변함에 따라 노동자에 대한 통제수단도 계속 변화한다고 보았다. 부로워이는 노동조합이 출현한 이후로 경영자가 자의적으로 권력을 행사할 수 없게 되었다고 보았다. 따라서 게임이나 비공식적 관행을 통해 노동자들이 자발적으로 체제를 받아들이고 그들이 높은 이윤을 창출하는데 공헌하도록 한다고 믿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