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인문&역사

무학대사 실제 역사, 한양천도, 함흥차사

무학대사 실제 역사, 한양천도, 함흥차사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조선이 건국되는 장면이 나왔다. 

무학대사는 조선 건국 초기의 한양천도 및 함흥차사 (유래) 이후의 태조와 태종의 화해를 위해 힘쓴 인물로 유명하다.


무학(無學 1327~1405)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로, 성은 박(朴)이고 이름은 자초(自超)다. 법명은 무학(無學) 계월헌(溪月軒)이다. 조선 태조(이성계)에 의해 왕사가 되었으며, 한양천도를 도왔다.


무학은 1327년 경상도 합천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는 지나치게 못생겨서 내다 버렸지만 학들이 와서 아이를 감싸서, 그의 부모는 그가 특별한 아이라 생각하여 도로 데려왔다는 이야기가 있다.

무학의 부모는 왜구에게 끌려갔다가 돌아온 하층민으로 갈대로 삿갓을 만들어 팔았다 하는데 그 때문인지 어렸을 때 기록은 많지 않다.


18세에 송광사에 들어가 소지 선사 밑에서 승려가 되었다. 이후 용문산(龍門山)의 혜명 국사로부터 불법을 전수받고, 묘향산의 금강굴에서 수도하였다.


1353년, 원나라의 연경으로 유학을 떠나 인도의 지공(指空) 선사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원나라에 있는 동안에는 오대산(五臺山) 등 중국의 각지를 순례하였다.

나옹 혜근을 만나 서산(西山) 영암사(靈巖寺)에서 수년을 머물다가 1356년(공민왕 5년)에 고려로 돌아왔다.


1364년, 나옹은 회암사를 중건하고 무학을 불러다가 수좌승으로 삼았다. 

나옹이 사망한 후에는 전국을 돌며 수행하였는데, 이 때 이성계와 처음 만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무학대사


1392년, 조선 개국 후 왕사가 되고, 묘엄존자(妙嚴尊者)의 호를 받았고, 회암사(會巖寺)에 있었다.


한양천도


태조는 도읍지를 옮기려 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당장은 개성(송도)을 그대로 도읍지로 썼으나, 새로운 도읍지가 필요했다.

태조는 무학대사를 불러 천도할 땅을 의뢰하였고, 무학대사는 전국을 돌며 지세를 살폈다.


어느 날, 무학은 한 노인이 밭을 갈면서 소를 꾸짖는 광경을 보게 되었는데 노인은 "미련하기가 꼭 무학 같구나, 어찌 매번 좋은 곳을 버리고 굳은 길만 골라 다니더냐?" 라고 하였다.

이를 들은 무학은 "실은 제가 바로 무학입니다. 뵙기에 예사로운 어른이 아닌 듯해서 묻겠습니다. 이곳이 조선의 도읍지로 좋다고 생각하는데 더 나은 곳이 있겠습니까? 라고 하였다.

노인은 여기서 십리만 더 들어가 보시오.(왕십리) 라고 하였다.

무학이 그대로 따라 서쪽으로 십리를 더 들어가서 지세를 살피니 사방이 험한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실로 훌륭한 형세의 지형이 나타났고, 그 곳(한양)에 새 도읍지를 세우기로 결정하였다고 한다.

- 조선의 수도를 서울(한양)에 세운 무학대사 태믹스의 지식문화 콘텐츠 참조

계룡산에 올라) 지세(地勢)를 두루 관람하고 왕사(王師) 자초(自超)에게 물으니, 자초는 대답하였다.“능히 알 수 없습니다.”

—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3권 태조 2년 계유 2월 11일의 기사


(남경의 옛 궁궐터에서) 임금이 또 왕사(王師) 자초(自超)에게 물었다.“어떠냐?”자초가 대답하였다.“여기는 사면이 높고 수려(秀麗)하며 중앙이 평평하니, 성을 쌓아 도읍을 정할 만합니다. 그러나 여러 사람의 의견을 따라서 결정하소서.”……이에 도평의사사에 명하여 경상·전라·충청·강원·풍해·경기좌·우도의 민정(民丁)을 선발하여 성쌓는 공사를 하게 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6권 태조 3년 갑술 8월 13일의 기사


무학은 인왕산을 주산으로 삼고 백악과 남산으로 좌우 용호(龍虎)를 삼는 곳(종로의 필운동 근처)을 궁궐터로 정하고 태조에게 아뢰었다.

태조는 무학의 말을 듣고 그곳을 궁궐터로 정하려 하였으나 정도전이 반대하였다.

예로부터 제왕은 모두 남면하여 나라를 다스려왔고, 동향했다는 말은 한 번도 들어보지 못했다는 이유에서 였다.


정도전의 건의에 따라 다시 잡은 자리가 북악산 밑으로 현재 경복궁 자리다. 



함흥차사


태조(이성계)는 두 차례에 걸쳐 일어난 왕자의 난으로 울분하여 왕위를 정종에게 물려주고 함흥으로 가버렸다. 

이에 이방원(태종)이 아버지의 노여움을 풀고자 함흥으로 여러 번 사신을 보냈으나 이성계는 그 사신들을 죽이거나 잡아 가두고 보내지 않아 함흥차사라는 말이 생겨났다.


결국 태종은 무학대사에게 청했고, 이에 여러 차례 함흥과 한성을 오갔다. 

하지만 무학대사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태조의 마음은 쉽게 바뀌지 않았다.



관련 영상 : 조선의 수도를 서울(한양)에 세운 무학대사-태믹스의 지식문화 콘텐츠



참조

- 위키피디아

-태믹스의 지식문화 콘텐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