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인문&역사

이인좌의 난 - 배경, 이운징 ~ 연잉군(영조)

이인좌의 난 - 배경, 이운징 ~ 연잉군(영조)

 

이인좌는 세종대왕의 넷째 아들 임영대군의 10세손으로, 할아버지는 관찰사 이운징이다. 그는 당시 실세였던 소론의 영수 윤휴의 손녀를 부인으로 맞이하며 출세가도를 달리게 된다. 하지만 숙종 20년(1694년) 갑술환국으로 남인이 실각하며 기세가 꺾이게 된다.

 

갑술환국은 숙종 20년(1694년) 폐비 민씨(인현왕후) 복위 운동을 전개하던 서인이 집권하고, 반대하던 남인이 화를 입어 권력에서 밀려난 사건이다. 숙종 15년 기사환국(원자(元子) 정호(定號) 세자 책봉 문제로 서인을 몰아내고 재집권) 이후로 장희빈의 행동이 방자해지고 불미스러운 일이 거듭되자 숙종은 다시 인현왕후에게로 마음이 돌아섰다. 이 때 서인의 폐비 복위 운동을 숙종이 지지하여 서인을 등용했고, 남인을 제거했다. 인현왕후는 다시 중전으로 복위되었고, 장희빈은 사약을 마시고 죽게 된다.

 

 

 - sbs 드라마 대박 이인좌(전광렬 씨)

 

숙종 20년(1694년) 이운징은 형 이의징(李義徵)과 함께 권세를 탐내고 화를 만들기를 좋아하였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파직당하고 귀양길에 오르게 된다. 이 사건 이후로 당시 전라감사로 있던 이인좌의 조부 이운징이 실각하고 백조부 이의징은 사사되는 등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이에 이인좌는 관직에 나아갈 길이 막혀 버렸고, 조부와 백조부가 죽은 이후 가세도 기울어 상주로 옮겨 살아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한편 경종(숙종, 장희빈 소생)이 왕위에 올랐을 때 집권하고 있던 남인과 소론은 영조(숙종, 숙빈 최씨 소생)를 죽이려고 하였지만 영조는 노론들의 보호 아래 삶을 이어간다. 경종은 건강이 좋지 않아 후계도 없이 왕위에 오른 지 4년 만에 승하(1724년)하고, 영조에게 왕위를 넘겨주게 된다. 영조는 왕위에 오르자마자 노론세력과 함께 자신을 억압했던 남인과 소론에게 복수를 하였다.

 

이에 반발한 박필현, 이유인, 심유현 등의 남인과 소론과격파들은 영조가 경종을 독살을 했다는 소문을 퍼트리고, 영조의 어머니인 숙빈 최씨에 대한 유언비어(무수리 시절)를 퍼트렸다. 뿐만 아니라 남인을 비롯한 소론과격파는 소현세자의 자손이었던 밀풍군 이탄을 왕위에 앉히기 위한 반란을 획책하게 되고, 이인좌 역시 1726년 박필현과 뜻을 같이하게 된다.

 

 

- kbs 역사저널 그날 무신란(이인좌의 난)

 

하지만 영조는 불안하게 돌아가는 정세를 느끼고, 실각해있던 소론 온건파 일부를 관직에 등용하는 탕평책을 실시한다. 소론 온건파가 다시 관직에 나가게 되자 분열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이인좌를 비롯한 과격파 소론들은 멈추지 않고, 반란을 강행하였다. 이인좌는 스스로를 대원수라 칭하고, 1728년(영조 4년) 3월 15일 상여에 무기를 싣고 청주에 진입하여 충청병사 이봉상(李鳳祥)을 비롯하여 군관 홍림(洪霖), 영장(營將) 남연년(南延年) 등을 살해하고 청주성을 점령하였다. 이후 격문을 돌려 병마를 모집하고 관곡을 풀어 나누어주었고, 경종의 위패를 모셔두고 참배하면서 반란의 정당성을 어필하였다. 

 

한양으로 진군하며 목천, 청안, 진천을 거쳐 안성, 죽산에 도달했다. 하지만 안성에서 반란진압을 위해 나선 도순무사 오명항(吳命恒)의 관군에게 안성에서 패하였다. 죽산으로 도피하였으나, 신길만(申吉萬)을 비롯한 마을사람에게 잡혀 한양으로 압송되었다. 결국 대역죄로 군기시(軍器寺) 앞에서 능지처참되어 생을 마감하게 된다.

 

 

- 영조

 

이인좌의 난은 정치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영조는 탕평책을 더 강화하게 된다. 노론 역시 반란으로 위기감을 느껴 탕평책에 반대하지 않았고, 무난하게 시행될 수 있었다. 참고로 탕평책은 영조의 주요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 그렇다 해도 노론은 더욱 강해졌고, 세도정치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는 비판도 있다.

 

cf. 이인좌의 난 : 이인좌는 가담자 중 한 사람이지만 청주를 함락시키고, 경기도로 진군하는 등의 큰 활약(?)을 펼쳤기 때문에 이인좌의 난이라 칭한다.

,